Script for Korean lesson

속담 교육 - 공든 탑이 무너지랴 / 중급 학습자

An educator 2020. 6. 14. 22:20
반응형

 

 

< 속담 교육 - 공든 탑이 무너지랴 / 중급 학습자>

 

 

목차

1. 서론

1) 속담을 배우는 이유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속담 서로 공유

2.
본론
1)
속담 제시, 속담 속 어휘와 관련된 한국의 역사

2) 속담의 뜻 제시
3)
속담이 사용되는 대화 내용을 제시

4) 조별 상황극 만들고 발표.

3.
결론

1) 속담 공든 탑이 무너지랴을 통해 발견한 한국의 문화   

+   교사 의견

 

4. 참고 문헌 & 자료

 

 

 

 

 

1. 서론

 

1) 속담을 배우는 이유

 

교사는 이번 시간 속담을 배우는 이유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여 학습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한국어에서 의사소통을 할 때에 속담을 빈번히 사용한다.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오는, 교훈이나 풍자를 담은 짧은 어구이다. 속담을 통해 의사 소통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고 한국인의 생활과 경험과 교훈을 배울 수 있다. 한국어 어휘를 학습하는 데에,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속담은 필수적이라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한국인의 문화와 세계관을 이해한다는 점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에게 이번 시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2) 학습자들이 알고 있는 속담 서로 공유

교사 : 그러면, 여러분이 한국 속담 중에 혹시 알고 있는 속담이 있나요? 알고 있는 속담이 있으면 이야기해 봅시다.

외국인 학습자들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가재는 게 편이다 등

 

 

 


2.
본론

 

1) 속담 제시, 속담 속 어휘와 관련된 한국의 역사

 

교사 : “여러분, 생각보다 많은 속담들을 알고 들어보았네요. 그렇다면 오늘은 속담들 중 공든 탑이 무너지랴에 대해서 배우도록 합시다.
교사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중급단계 속담 중공든 탑이 무너지랴’(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여 한 일은 헛되지 않아 반드시 좋은 결과로 이어진다) 를 교육한다.

 

<경주 불국사 3층 석탑>

 

 

교사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사진을 통해 한국 경주에 있는 공들여 쌓은 탑을 보여준다. 신라시대, 삼국시대 때에 세워진 탑들을 보여주면서 그 자태와 유적이 아직까지도 의젓하게 남아 지금까지 무너지지 않고 보존되어 온 것을 보여준다

교사는 과거 조상들이 탑을 세울 때 무너지지 않도록 돌 하나 하나에 정성을 들여 쌓아 올려 그 공든 탑은 무너지지 않고 무너져서는 안된다는 믿음을 갖고 있음을 설명한다

 

 

2) 속담의 뜻 제시

 

교사 : 위에 한국의 역사와 탑이 보존되어 온 조상들의 정성을 통해 우리는 공든 탑이 무너지랴는 역사적으로 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여 한 일은 헛되지 않아 반드시 좋은 결과로 이어진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속담이 사용되는 대화 내용을 제시

 

교사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 2-3명과 함께 속담이 사용되는 대화 내용을 그 역할이 되어 읽어본다.

 

예문1)

아들 : 내일 시험이라 정말 떨리네요!

아버지 : 우리 아들이 그동안 시험을 열심히 준비했으니 잘 볼거야 공든 탑은 무너지지 않으니까

 

예문2)

친구1 :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야 그냥 포기해야 할까?

친구2 : 공든 탑은 무너지지 않는다고 해. 하루하루 열심히 하고 포기하지 말자

 

4) 조별 상황극 만들고 발표

 

교사는 외국어 학습자 4명씩 조별로 상황극을 5분동안 준비하게 한다.

조별로 돌아가며 발표를 하면서 오늘 배운 속담의 의미와 사용을 익혀 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결론

 

1) 속담 공든 탑이 무너지랴를 통해 발견한 한국의 문화

 

교사 : 이번 시간 공든 탑이 무너지랴를 통해 알게 된 한국의 문화 또는 생활 방식 그리고 가치관은 어떤 것이 있나요? 돌아가면서 발표해봅시다.

교사는 속담을 통해 과거 한국 조상들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한국인의 가치관을 교육한다.

또한 속담을 활용할 줄 아는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 교사 의견

온 힘을 다하여 정성 들여 쌓은 탑은 무성의하게 바삐 쌓은 탑보다는 무너질 위험이 훨씬 적습니다. 그러니 우리는 일을 할 때는 정성을 기울여서 차근차근 꾸준히 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 배운 공든 탑이 무너지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수업을 들을 때에 노력과 정성을 다하는 자세와 차근차근 꾸준히 공부할 수 있는 태도를 교육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참고 문헌 & 자료

 

위키낱말사전https://ko.wiktionary.org/wiki/%EA%B3%B5%EB%93%A0_%ED%83%91%EC%9D%B4_%EB%AC%B4%EB%84%88%EC%A7%80%EB%9E%B4

한국의 탑https://blog.naver.com/wjdwjd9096/130118576720

학습 단계별 속담 교육 연구(고영원,2007, 임혜진,2007, 조현용,200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한재영 외, «한국어 어휘 교육», 태학사, 20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