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
목차
1. 서론
1) 중의적 표현이란?
2. 본론
1) 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
1] 언어 내적 요인에 의한 중의성
2] 언어 외적 요인에 의한 중의성
2) 중의성 검사
3. 결론
+ 교사 의견
4. 참고 문헌 & 자료
1. 서론
1) 중의적 표현이란?
중의성이란?
제시한 한 표현이 둘 이상의 의미를 지님으로써 듣는 이가 해석하는데 곤란을 느끼는 복합적 의미 관계
어휘적/구조적/화용적 중의성 등으로 중의성의 영역이 나뉜다.
2. 본론
1) 중의적 표현의 종류
1] 언어 내적 요인에 의한 중의성
*어휘적 중의성
-다의어에 의한 중의성
e.g) 여기에 길이 있다 : 살아갈 방책 또는 자동차가 지나갈 도로
-동음어에 의한 중의성
e.g) 차 준비했습니다. : 마실 것 또는 탈 것
세계혁명/사리엔스 – 때가 왔다 이 남자 찌든 때 : 시기를 의미하는 때와 몸의 이물질
-동음어에 의한 중의성
입안과 이 반
-동사의 상적 속성에 따른 중의성
지화가 흰 티를 입고 있다 : 현재 진행과 상태 지속 두 가지 해석으로 가능
*구조적 중의성
-수식 관계에 따른 중의성
지화가 좋아하는 남자의 누나를 마트에서 만났다.
: 지화가 좋아하는 남자인가 아니면 지화가 좋아하는 남자의 누나
-서술어와 호응하는 논항 범위에 따른 중의성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딸을 더 사랑한다
: 아버지를 딸보다 사랑하는가 아니면 아버지가 딸을 사랑하는 것 보다 더 사랑하는가
-단어의 영향권(작용역)에 따른 중의성
양화사의 작용역에 따르는 예시 )
모든 소년들이 한 소녀를 좋아한다 : 같은 한 소녀를 아니면 한 명의 소녀씩 인가
부정사의 작용역에 따르는 예시 )
아이가 학교에 가지 않았다 : 학교에 안갔다 인가 다른 곳에 갔다는 것인가
2] 언어 외적 요인에 의한 중의성
화용적 중의성
-발화 장면, 담화에 따라서 생겨남
e.g) 영주는 자정까지 공부하더라
2) 중의성 검사
대용어를 통한 중의성 검사 - R. M. Kempson
:‘그러하다’를 이용한 대용 표현에서도 의미적 동일성이 유지된다면 중의문이고 그러지 않다면 모호문임
A. 내가 차를 준비했다.
B. 내가 차를 준비하고 수지도 그랬다.
=> 내가 ‘탈 것’을 준비했다면 수지도 ‘탈 것’을 준비한 것으로 해석되고 ‘마실 것’을 준비했다면 수지도 마찬가지일 것, 교차적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3. 결론
오늘 중의성의 의미와 유형과 특징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나는 우리가 일상 생활 속 대화를 하거나 글을 읽으면서 의미를 이해하는데 중의성의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과 연구 또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가 될 것이다.
그에 대하여, 언어 외적 요인에 의한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선택제약을 적용하거나 문맥의 의미를 활용하거나, 세상 지식을 적용하거나 운율적 요소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제약의 적용 : 중의성을 일으키는 어휘가 그것과 공기하는 서술어에 의해 중의성이 해소되는 경우
e.g) 눈을 보니 눈이 정화되는 느낌이다.
문맥 : 문장 안에서의 흐름
e.g) 내가 사과를 그리더니 배를 그리기 시작했다.
세상 지식의 적용
e.g)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가고 싶다.배와 바다라는 지식
운율 요소 : 입말에서는 억양이나 강세, 휴지의 길이 사용
e.g) 나이가 많은 엄마와 아빠 – 나이가 많은 (휴지) 엄마와 아빠
4. 참고 문헌 & 자료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2020) 서태길
'Script for Korean les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 유적지인 공주 석장리 유적에 대한 자료 (0) | 2020.11.29 |
---|---|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유형 (0) | 2020.11.15 |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문장 유형의 차이점과 공통점 (0) | 2020.11.07 |
품사 분류의 기준과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 (0) | 2020.10.28 |
속담 교육 - 공든 탑이 무너지랴 / 중급 학습자 (0) | 2020.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