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ript for Korean lesson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유형

by An educator 2020. 11. 15.
반응형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유형

 

 

 

 

 

서론

 

쓰기란 문자 언어를 매개로 의사소통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표현 기능을 말한다. 또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구어보다 분명하고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오늘 과제를 통해 한국어 능력 시험의 쓰기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론

 

1. 한국어 쓰기 능력 배양의 중요성

단순히 언어, 글자를 쓰는 것이 다가 아니라, 학습자가 전달하려는 의미를 나타내고 의도한 언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문자 언어로 정확하고 유창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2. 한국어 능력 시험이란?

외국인 및 재외동포에게 한국어의 학습 방향을 제시하고 한국어 보급을 확대하며,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그 결과를 유학 및 취업에 활용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3. 한국어 능력 시험의 목적

: 주된 목적은 한국어 사용 능력을 평가, 그 결과는 국내 대학 입학 및 한국 기업 취업 등의 평가 목적에 맞게 활용되고 있다. 한국어능력시험을 통해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는 평가 기관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수험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해 볼 수 있으며, 수험자는 자신의 한국어 실력이 공인된 기준에서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받을 수 있다.

 

4. 한국어 능력 시험에서 쓰기 유형

한국어능력시험의 등급은 1~6급까지 6개 등급이고, 획득한 종합점수를 기준으로 판정된다.

 

1) 쓰기 영역

: 서답형 문항들이 등장한다. (문장 완성형, 작문형)

서답형이란? 교육 필기시험 문제 형식의 하나. 주어진 물음이나 지시에 따라서 답안을 작성하게 하는 방식으로, 완결형ㆍ단답형ㆍ논문형이 있다.

 

-문장완성형(단답형) : 2문항

-작문형 : 2문항

* 작문형의 경우

: 200-300자 정도의 중급 수준 설명문 1문항, 600-700자 정도의 고급 수준 논술문 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쓰기 영역 작문 문항 평가 범주

-51-52

: 내용 및 과제 수행언어: 내용의 적절성 (제시된 내용에 맞게 기술했는지 여부)

: 언어사용 측면: 어휘화 문법 사용의 정확성을 측정함

 

-53-54

: 내용 및 과제 수행 과제의 충실성, 내용의 적절성(주제와의 관련여부), 내용의 표현성(내용이 풍부하고 다양하게 표현되었는가)

: 글의 전개 구조 명확하고 논리적인 구성, 내용에 따른 단락 구성, 내용의 응집성(적절한 담화표지의 사용여부)

: 언어 사용 어휘와 문법, 맞춤법의 정확성, 다양하고 풍부한 어휘의 사용, 격식에 맞는 글쓰기

 

* 개편된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어휘/문법 영역이 제외된 이유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로의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데에 목적이 있기 때문에 어휘/문법이 제외되었다.

-이 시험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를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평가가 주되어 필요하다.

-TOPIK Ⅱ의 읽기 영역에 어휘 문법을 평가하는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

 

 

 

 

 

 

결론

 

 

이 시간 우리는 한국어 능력 시험과 쓰기 영역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우리는 왜 한국어 능력 시험의 쓰기 유형에 대해서 알아야 할 것인가 우리는 한국어 교원으로서 학생들이 한국에서 취업 또는 생활을 이어 나갈 때에 필수적인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도록 돕는 사명을 가졌다. 한국어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유학과 학업을 이어 나가는데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 해야 하는 의무를 갖고 있다. 그 가운데 의사소통의 가장 상위 영역인 쓰기 영역은 단순히 단어와 문장을 알아서 해결되지 않고 각 평가 영역들을 알고 교수해 나가야 한다. 때문에 더 많이 소통과 피드백이 학생들과 필요할 것이다. 또한 한국어 능력 시험이라고 하는 특별한 시험 대비를 하는데 있어서 미리 쓰기 유형을 알면 수준과 유형에 맞게 교수할 수 있고 그에 맞는 대비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능력 평가론 이소연

file:///C:/Users/Aurora/Desktop/aurora/Korean%20teaching/2%ED%95%99%EA%B8%B0/%EC%99%B8%EA%B5%AD%EC%96%B4%EB%A1%9C%EC%84%9C%EC%9D%98%ED%95%9C%EA%B5%AD%EC%96%B4%EB%8A%A5%EB%A0%A5%ED%8F%89%EA%B0%80%EB%A1%A0_1_7%EC%A3%BC%EC%B0%A8.pdf

네이버 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37885&cid=46674&categoryId=4667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