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 분류의 기준과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
서론
이번 과제를 통해 품사 분류의 기준을 알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안다
본론
1. 품사 분류의 기준
- 형태, 기능, 의미
:단어의 형태의 변화에 따라
문장에서 어떤 역할(기능)을 담당하는가
단어의 공통된 의미에 따라
2.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
1) 한국어의 품사
-9품사
-형태에 따라서
: 가변어 : 형태가 변하는 단어, ex) -싫다,-싫어, 싫네, 싫구나, 싫은 음식
: 불변어 :문장에서 사용할 때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 ex) 밤을 좋아해, 밤을 먹고 싶다, 구운 밤
-역할(기능)에 따라서
: 체언 : 문장의 뼈가 되는 말,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의 문장의 주성분으로 쓰이는 단어
ex) 꽃, 산, 마음, 사랑, 너, 우리, 이건, 저것, 여기, 하나, 둘째
: 수식언 :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미는 역할을 하는 말
ex) 빨간 - , 무척, 활활, 아주
: 관계언 : 체언 뒤에 붙어서 다른 말과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말
ex) -가 -를 –(했다)
: 독립언 : 문장에서 다른 말과 상관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놀람이나 부름과 같은 내용을 담음
ex) 와우 멋지다 어머나
: 용언 : 문장에서 사물/사람의 움직임을 설명하여 서술하는 기능
ex) 먹다, 앉다, 날다, 예쁘다
-의미에 따라서
: 명사 : 사물의 이름, 구체적 대상의 이름이나 추상적 대상의 이름
: 대명사 : 사물의 이름을 대신해서 가리킴
: 수사 :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냄
: 관형사 : 체언 앞에 놓여 그 내용을 꾸며줌
: 부사 : 용언 또는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내용을 꾸며줌
: 조사 : 주로 체언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 그 말 뜻을 도와줌, ex)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 감탄사 : 말하는 사람의 놀람이나 느낌, 부름, 대답 등을 나타냄
: 동사 : 사람/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냄
: 형용사 : 사람/사물의 상태, 성질을 나타냄
2) 영어의 품사
-8품사 체계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접속사, 전치사, 감탄사
3) 차이점
-한국어는 수사가 따로 품사로 분류되고 영서는 수사를 분류하지 않고 형용사에 포함시킴
-한국어의 조사는 뒤에 오고 영어의 전치사는 앞에 옴
-한국어의 조사는 단어들 사이의 관계나 그 의미를 분명하게 하고 수가 훨씬 많지만 영어의 전치사는 명사가 대명사 앞에 쓰여 제한적으로 쓰임
-한국어의 형용사는 “~어떠하다”로 표현할 수 있지만 영어는 “~한”으로 표현, 형용사로 서술을 마무리 지을 수 없는 것
-한국어에는 관형사가 있고 이 관형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언으로 ‘새, 헌, 첫, 옛’이 있음
-한국어의 관형사는 영어의 형용사와 비슷하여 체언을 꾸밈
-한국어에서 접속사는 따로 분류되지 않고 조사와 부사에 포함되지만 영어의 품사 중 접속사는 따로 분류됨
결론
이번 시간을 통해 품사 분류의 기준을 알아보았고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이해하게 되었다.
품사 분류의 기준은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달라지는데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가,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담당하는가, 단어의 공통된 의미는 어떠 한가로 분류되었다.
한국어의 품사 분류는 영어의 품사 분류와 차이를 보이는데 품사를 나눈 분류의 개수부터 수사, 조사, 관형사, 형용사, 접속사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어 교원으로서 한국어 품사 분류 기준만 알 것이 아니라 외국어이자 전세계 공통 언어인 영어의 품사 분류 기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이 차이점을 고려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더 효과적인 지도와 수업을 준비해야할 것이다. 만약 이를 알지 못하고 지도한다면 학습자의 오류와 실수를 이해하지 못하고 한국어를 나만의 방식으로만 가르쳐 혼란을 빚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언어학개론 – 이금룡(1-7주차)
한국어와 영어의 품사 분류
https://m.blog.naver.com/ovarsoda/221291563542
국어 품사의 분류와 특성
'Script for Korean less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 유적지인 공주 석장리 유적에 대한 자료 (0) | 2020.11.29 |
---|---|
한국어능력시험의 쓰기 유형 (0) | 2020.11.15 |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문장 유형의 차이점과 공통점 (0) | 2020.11.07 |
중의적 표현의 종류와 특성 교육 (0) | 2020.06.28 |
속담 교육 - 공든 탑이 무너지랴 / 중급 학습자 (0) | 2020.06.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