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ript for Korean lesson

한국 사회의 실업의 그 원인과 유형

by An educator 2020. 12. 4.
반응형

 

 

현대 한국사회의 실업의 그 원인과 유형

 

 

 

서론

 

이 시간 현대 사회의 실업의 그 원인과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실업자란 15세 이상의 인구 중 지난 4주간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였으면 일이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하지만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못한 사람을 뜻한다.

 

 

본론

 

 

1. 현대사회의 실업의 원인

 

 

1) 경제성장률의 하락

 

 

일자리창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성장이다. 같은 조건 아래에서 경제성장률이 높을수록 일자리창출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한국 은 2000년대 들어 경제성장률이 하락하고 있다. 경제성장의 고용효과를 보여주는 고용의 탄력성도 2006년 이후 낮아졌다.

 

 

2) 성장의 낮은 고용효과

 

 

경제성장에 따른 일자리창출 효과는 수출산업보다 내수산업이 크고,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높으며, 제조업보다 서비스산업이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고용창출 효과가 낮은 수출·대기업·제조업 중심의 경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사관계 불안과 글로벌 경쟁심화 등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해외이전, 글로벌 아웃소싱(out-sourcing), 노동절약형 기술 도입 등을 추진함에 따라고용 없는 성장이 커지고 있다.

 

 

3) 인적자본의 낮은 활용도

 

 

인적자원을 잘못 활용하고 있다는 증거는 OECD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고용률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4) 청년층의 인식

 

 

청년층의 실업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가장 커다란 원인은 부모나 다른 가족이 생계를 지원하여 직장탐색비용(job search cost)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생애 초기에 어떤 직장이나 직업을 택하는가에 따 라 생애 기대소득과 미래의 사회경제적 위상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취업에 신중하게 된다. 사회적 평가 또는 근무여건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자리에의 취업으로 인한 낙인효과(stigma effect)도 청년 취업난을 심화를 시키는 주요 원인의 하나다.

정당한 대우를 해주지 않는 중소기업(그렇지 않은 일부를 제외한), 파견직, 일용직, 비정규직에 취업한 것을 일반적으로취업했다라고 하지는 않는다. 이런 상태를 많은 청년들이 피하려고 하기에 취업난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노동법을 준수하며 평균 세전 3천만 원 이상의 임금을 받는 기업(대기업 계열사, 공기업, 좋은 중견기업)은 구직자 중 약 15%만 에 갈 수 있기 때문에 학벌, 전공, 스펙 등에 의한 경쟁이 벌어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구직자는 이런 곳에 갈 수 없고, 이런 곳을 못 가는 구직자가 늘어나서 취업난이 생긴다.

 

 

 

 

http://news.mk.co.kr/v2/economy/view.php?year=2016&no=199935

 

 

 

2. 현대 사회의 실업의 유형

 

1) 경기적 실업 : 불경기에 의한 총수요감소로 노동의 총수요감소로 이어져서 발생하는 실업이다.

 

2) 마찰적 실업 : 신규취업자나 전직희망자가 노동시장에 진입과정에서 정보 부족으로 발생하는 실업이다.

 

3) 구조적 실업 : 산업구조나 기술의 변화로 인해 노동력 수급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실업이다.

 

4) 계절적 실업 : 계절적 이유로 노동수요가 감소해서 발생하는 실업이다.

 

 

 

 

결론

 

나만의 추구하는 새로운 길을 찾는 목적이라면 달라질 수도 있다. 새로운 길을 통해서 남이 해보지 않은 일을 하다 보면 취업 포기자라도 자수성가하는 결실도 맺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돈이라도 있으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먹고 살기 힘들 수 있다. 복지나 최저생계비 지원보다는 사회에서 값진 노동의 대가를 요구하는 그런 성향이기 때문에 아무리 싫어도 사회의 정서를 따를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차라리 집에서 눈치밥을 더 얻어먹으며 취업을 더 준비하거나, 스펙은 모자라고 공시도 힘들고, 이도 저도 아니라면 파트타임을 하면서 재취업이 가능한 전문기술을 배우는 쪽이 더 안전하다는 것은 알고 있어야 한다. 아직 전문기술을 배운 적령기의 사람이 취직할 수 있는 일자리들은 분명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취업이 안 되더라도 모든 걸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안 되는 길은 과감하게 포기하고 다른 방향의 취업에 방향전환을 하는 과정으로 시간을 활용해서, 재취업의 길을 만들어 나가는 편이 안전하고 건설적이다.

이 시간 현대 한국 사회의 실업의 원인과 그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현대 한국 사회의 실업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 교원으로서 한국 문화를 가르치는데 필수적이고 또한 이에 대한 관심을 갖고 해결하는 것에 한국어 교원으로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참고문헌

 

청년실업,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B2%AD%EB%85%84%EC%8B%A4%EC%97%85

 

직업상담사

https://blog.naver.com/jakepark3/221981257354

 

일자리 문제의 원인과 대책, 금재호

file:///C:/Users/Aurora/Downloads/%EC%9D%BC%EC%9E%90%EB%A6%AC%20%EB%AC%B8%EC%A0%9C%EC%9D%98%20%EC%9B%90%EC%9D%B8%EA%B3%BC%20%EB%8C%80%EC%B1%85.pdf

 

 

 

반응형

댓글